
올바른 맞춤법 한 번에 정리!
“애들아~ 밥 먹자!”
“얘들아~ 수업 시작하자!”
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쓰는 이 말들, 과연 맞춤법은 어떤 게 맞을까요?
✅ 결론부터 말하자면: ‘얘들아’가 맞는 표현입니다!
그럼 왜 ‘애들아’는 틀렸다고 할까요?
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는 이 표현, 지금부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😊
1️⃣ 얘들아의 뜻과 구조
‘얘들아’는 **‘얘(이 아이들)’ + ‘들(복수형)’ + ‘아(호격 조사)’**의 구조로 이루어진 말이에요.
- 얘 = 이 아이
- 얘들 = 아이들
- 얘들아 = 아이들아 → 사람들을 부를 때 쓰는 표현
즉, ‘얘들아’는 말을 거는 표현, 다시 말해 호칭어로 사용하는 게 맞는 것이죠!
2️⃣ ‘애들아’는 왜 틀릴까?
‘애들아’는 흔히 구어체로 많이 쓰이긴 하지만, 표준어 규정에서는 ‘얘들아’가 맞는 표현이에요.
‘애들’은 ‘아이들’의 준말처럼 느껴지지만,
국어 맞춤법 상에서는 ‘얘’가 ‘이 아이’를 뜻하는 고유어이고,
그로부터 파생된 복수형과 호격은 ‘얘들아’로 표현됩니다.
📌 ‘애들아’는 표준어가 아니며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아요.
3️⃣ 실제 예문으로 비교해볼까요?
- ❌ 틀림: 애들아, 오늘 뭐 할까?
- ✅ 맞음: 얘들아, 오늘 뭐 할까?
- ❌ 틀림: 애들아, 숙제 다 했니?
- ✅ 맞음: 얘들아, 숙제 다 했니?
말할 땐 비슷해 보여도 글로 쓸 땐 구분해서 써야 해요! 특히 공식 문서나 글쓰기, 시험에서는 감점 요소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!
4️⃣ 비슷하게 헷갈리는 표현도 있어요
| 애들아 | 얘들아 |
| 걔들아 | 걔들아 ✅ (맞음) |
| 니꺼 | 네 것 ✅ (글쓰기 시엔 정확히!) |
| 내꺼 | 내 것 ✅ |
‘얘’나 ‘걔’처럼 구어체로 자주 쓰이는 말들일수록 표준어와 다른 표현이 섞이기 쉬워요.
그래서 평소에 자주 확인해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!
📌 마무리 요약
✔️ ‘얘들아’는 ‘이 아이들’을 부르는 올바른 표현
✔️ ‘애들아’는 구어체일 뿐, 맞춤법상 표준어가 아님
✔️ 글쓰기나 공문서 작성 시에는 꼭 ‘얘들아’로!
✔️ 평소에도 올바른 언어 습관이 중요해요 😊
✨ 오늘의 한 줄 요약
‘얘들아’는 맞고, ‘애들아’는 틀려요!
맞춤법도 알고 보면 쉽고 재미있어요!
앞으로는 우리 얘들아~ 라고 자신 있게 불러보자고요 😄